이중경, 안호웅 제2대 네오블러드 토너먼트 챔피언 등극
2년 여 만에 다시 개최된 판크라스 코리아의 세미 프로 이벤트인 ‘제2회 코리아 네오블러드 토너먼트’ 와 아마추어용 이벤트 ‘제12회 판크라스 코리아&카이저 하이브리드 챌린지의 합동 흥행이12일 서울 영등포 정심관에서 개최되었습니다.
이날 대회에서는 본래 하이브리드 챌린지에서 치러져 왔던, 힐홀드와 파운딩 등 위험한 기술이 배제된 아마추어 용 룰인 게이트 부문 및 실제 판크라스 경기와 같은 룰을 적용하는 프로룰인 네오블러드 부문을 포함 총4개 부문18경기의 경기가 치러졌습니다.
지난2007년 부산에서 개최된 제1회 대회에서 현재 WEC 등 메이저 단체에서 맹활약 중인 ‘좀비’ 정찬성 등을 배출해 낸 배 있는 터라 이날 관심을 말해주기라도 하듯 적지 않은 관계자와 파이터들이 모여 열띤 응원과 열전을 펼쳤습니다.
이날의 꽃이자 프로 무대의 등용문이라 할 수 있는 네오블러드 토너먼트에서는 -70kg급의 라이트급과 -65kg급의 페더급 4강 원데이 토너먼트로 치러졌습니다. 페더급 결승에서는 최정규 짐의 문인수와 팀 찰리의 안호웅이 격돌, 각종 타격과 서브미션을 주고받는 격렬한 공방 끝에 안호웅이 파운딩으로 2대 코리아 네오블러드 챔피언에 등극했습니다.
[네오블러드 토너먼트 페더급 결승에서 안호웅이 문인수에게 파운딩을 가하고 있다]
다섯가지자란 넷상 닉네임으로도 잘 알려졌으며 1차전에서 난타전 끝에 컷에 의한 닥터스탑으로 승리한 KTT소속의 아마 베테랑 조한범과 격돌한 홈그라운드 영등포 정심관 소속의 이중경은 아랫포지션에서 고급서브미션 기술인 풋초크를 사용하며 라이트급 2대 코리아 네오블러드 챔피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
[네오블러드 라이트급 결승서 이중경이 조한범을 풋초크로 공격하고 있다]
게이트 부문 첫 경기에 나선 김성재와 전병용은 프로 이상의 스피디한 공방을 보여 주었으나 전병용의 로우블로우 공격으로 인한 경고 누적으로 반칙패로 끝나 아쉬움을 남겼으며 흑인 파이터 레오와 김대명은 한 수 위의 정확도 높은 타격으로 반격하다 길로틴 초크로 승부를 결정지어 박수갈채를 받았습니다.
비기너(초심자 룰)에서는 9경기에 출전한 유술 명문 MARC 소속의 최강주가 링 줄 바깥으로 떨려져 나가면서도 암바를 성공시키는 투지를 보여주어 눈길을 끌었으며 최강주의 팀 동료 차인호가 팀 파시의 김준영을 한 수 위의 그라운드 능력으로 유리한 경기를 이끌어가다 암락으로 한판 승을 기록했습니다.
[제2회 판크라스코리아 네오블러드 토너먼트 & 제12회 판크라스코리아/카이저 하이브리드챌린지 결과]
<네오블러드 토너먼트>
18경기: 이중경 > 조한범 (풋초크 1R 1:40) # 라이트급 결승
17경기: 문인수 < 안호웅 (TKO 2R 4:42) # 페더급 결승
07경기: 조한범 > 유재훈 (닥터스탑 2R 1:16) # 라이트급 4강
06경기: 권일진 < 이중경 (트라이앵글 초크 2R 1:51) # 라이트급 4강
05경기: 안호웅 > 한다일 (TKO 2R 4:56) # 페더급 4강
04경기: 문인수 > 김원기 (암바 1R 0:54) #페더급 4강
16경기: 송민종 = 김효룡 (경기종료)
15경기: 정윤재 < 김명재 (닥터스탑1R 4:13)
14경기: 레오 < 김대명 (길로틴 초크 1R 4:51)
13경기: 전병용 < 김성재 (레프리스탑2R 4:12 )
<비기너>
12경기: 배기성 = 설규종 (경기종료)
11경기: 김준영 < 차인호 (암락2R 1:56)
10경기: 김수현 = 정희성 (경기종료)
09경기: 김종혁 < 최강주 (암바1R 2:32)
08경기: 홍선호 = 이경섭 (경기종료)
<캐치레슬링 –팀 포마 vs 팀 맥스 3:3 대항전>
03경기: 이준석 < 이지훈 (판정8-1)
02경기: 양재웅 < 오호택 (1R 트라이앵글 초크)
01경기: 정준영 > 곽명식 (판정 5-2)
[사진제공=오마이뉴스 변광재 기자]
덧글